커뮤니티

NOTICE - 자연과 어우러지는 펜션에서 추억을 만드세요

추억남기기

밤하늘에 별빛이 가득한 아름다운 펜션

두산에너빌리티 목표 주가, SMR 대장주 주목받는 이유

페이지 정보

작성자 Melissa 작성일25-07-16 05:14 조회4회 댓글0건

본문

​두산에너빌리티는 두산에너빌리티 작년부터 미친듯이 상승한 종목입니다. ​​​지난 5월 초, 체코 원전 본계약이 무산될 것이라는 소식에 단기 조정이 예상되었었고, 이 조정은 이후 두빌의 폭등장의 단 하나뿐인 조정 요인이었습니다.​​​최근 6개월간 216% 상승, 3개월간 170% 상승 등 단기적으로 미친 상승을 보여줬던 두산에너빌리티의 주가가 심상치 않습니다.​​​스멀스멀 나는 하락의 냄새와 신규 진입을 고민하시는 분들에게 하고싶은 이야기를 잠깐 드려볼까 합니다. 시작해볼게요.​​​​Disclaimer : 종목 추천 및 투자 권유 포스팅이 아닙니다.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.​​​두산에너빌리티 업황​​​​6월 4일, 한수원이 체코 두코바니 신규 원전 사업에 대한 본계약을 최종 두산에너빌리티 체결했음.​​​한화 26조원 규모의 대규모 거래로, 두산에너빌리티는 이 신규 원전에 들어가는 핵심 기기의 공급을 맡게 됨.출처: 한수원, IM증권​​특히, 두산에너빌리티의 주력 사업은 증기 가스터빈 및 발전 설비 시장임. ​​​​가스 터빈은 비행기 엔진처럼 공기를 빨아들여 압축하고, 그 공기에 천연가스같은 연료를 태워 뜨거운 가스를 만드는 방식임. ​​​​​대표 제품인 H-Class 가스 터빈은 23년 기준 국내 시장 점유율 67%를 차지하며, 글로벌 시장에서도 대략 10% 수준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음.​​​​두산에너빌리티는 전세계 5번째로 고효율 대형 가스터빈인 DGT6-300H.S1을 개발한 이래, 무탄소 발전이 가능한 더 최신의 제품들을 개발하고 두산에너빌리티 수주 중인 상황임.​​원자력 발전소는 핵분열로 발생한 열을 이용해 물을 끓여 증기를 만들고 이 증기로 터빈을 돌려서 전기를 생산함. 즉, 증기 터빈​이 주가 됨.​​​​직접적으로 앞서 언급한 가스 터빈을 발전에 사용한다기보다, 원자력 공장에서 비상용 전원이나 수소 생산과 연계된 보조발전에 사용되는 보조적인 엔진, 비상용 보트 역할을 한다고 보는게 적합함.​​​​​​​한편, 두산에너빌리티의 가스 터빈은 대형 원자력 공장에서는 보조 역할이 더 강력하지만, 요즘 가장 큰 화제가 되고 있는 SMR 업계에서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부여받고 있음.​​​​SMR은 Small Modular Reactor, 소형 모듈 원전의 준말임.​​​도시 전체의 두산에너빌리티 전력공급까지 가능한 기존 원자력 공장의 규모와 달리, SMR은 공장에서 미리 제작한 모듈을 현장에 조립해 사용할 정도로 컴팩트한 사이즈를 지니고 있음.​​​​일반 원전의 출력이 1000~1600MWe 수준에 달하는 반면 SMR은 10~300MWe 수준이 대부분임.​​​​일반원전은 짓는데 5-10년, SMR은 건설에도 2-3년 정도면 충분함. 비용도 저렴함. 기업 단위에서 AI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센터를 미친듯이 짓고 있는 상황에서 전력 수급이 어려워지자 SMR을 찾고 있다는 이야기는 많이 들어봤을 것임.​​​​정리해보면, 두산에너빌리티는 신한울 3,4호기같은 대형 원전의 핵심 설비인 원자로, 증기발생기, 증기터빈을 공급하는 공급자면서,​​​Nuscale Power, X-energy, Terrapower, SMART같은 글로벌 업체들의 두산에너빌리티 SMR 프로젝트에서도 핵심 부품을 공급하기로 되어 있음.​​​​즉 두산에너빌리티 주가가 이정도로 폭등하는데는 친환경 바람이 저물고 원자력 붐이 돌아오며, SMR과 같은 기업의 전력수급발 소형 원자로에 대한 니즈가 커지고 있기 때문임. 두산에너빌리티를 한마디로 표현하면 올라운더라고 볼 수 있음.​​​​​​​주가 전망, 스멀스멀 조정 냄새​​​​4월에 2만원을 겨우 사수하던 두산에너빌리티의 주가는 최근 7만원을 넘겼었음.​​당시 RSI는 90을 넘겨 시장 최고의 핫한 주식이라고 봐도 될 정도였음. (극도의 과매수 상태)​​​​국장 상승의 대부분을 책임지는 큰 수급인 외국인/기관 매매동향을 살펴보면 좋을 것 같음.​​​최근 중 가장 높은 외국인 보유비중을 보였던 두산에너빌리티 시점은 6월 5일의 26.6%였음. 당시 주가는 대략 46,000원 수준임.​​​​​7월 11일 종가 기준, 외국인 보유비중은 23.9% 수준임. 대략 3% 가까운 비중이 빠졌음.​​​두빌의 시총은 39조원 수준임. 3%면 1.2조원 수준의 외국인 물량이 빠져나간 상황이라고 볼 수 있음.​​​이 많은 물량이 빠져나갔는데도 두산에너빌리티의 주가는 최고가 72,200원을 찍었을 뿐만 아니라 아직도 6만원대를 유지하고 있음.​​​​정리하자면, 대략 5만원까지 두산에너빌리티의 주가는 외국인과 기관의 쌍끌이 매집으로 올라간 상승이었다면 이후 과매수 장세에서는 개인들의 매집이 쌓아올린 사상누각이라고 볼 수도 있음.​​​​2차전지 열풍이 마지막으로 불었던 23년 7월의 기사임. 투자 예탁금이 최대치에 두산에너빌리티 달했고, 개인들의 거래대금이 폭발했음.​​​이후 주가 현황은 다들 알 거임. 물론 두산에너빌리티는 2차전지처럼 산업 자체가 공급과잉과 경쟁과잉으로 인한 하락트렌드를 겪을 수준은 아니지만, 개인 수급이 과다할 때 시장은 꼭 한번씩 철퇴를 내리곤 함.​​​​PBR 밴드는 장기평균을 이탈한지 한참 되었음. ​이런 고루한 밸류에이션은 고성장주들의 가격 전망을 할 때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도 많지만, 외인/기관 수급이 다 빠지는 경우엔 하락 의견의 주요 구심점이 되기도 함.​​​​미국에 위치한 GE Vernova는 두산에너빌리티의 유력한 경쟁사 중 하나임. 1년간 200%의 주가가 오른 이 회사 PER이 78배 수준인데, 두산에너빌리티 두빌 PER이 연말 기준 132배 수준임.​​​GE Vernova는 세계에서 가장 큰 가스터빈 제조사 중 하나로, 가스터빈 기준으로 세계 1위 업체임에도 두산에너빌리티보다 밸류에이션 기준 저렴한 가격에 거래중임. ​​​GE Vernova 역시 가스터빈, 증기터빈 세계 1위인데 SMR 역시 미국, 캐나다, 유럽 시장을 공략하고 있는 상황임. 두산에너빌리티의 독점적인 업계가 아니란 의미임.​​​현 정부가 탈원전 이력이 있는 정부라는 점, 친중반미 기조가 있는 상황에서 서방과의 외교가 원만하지 않을 부분등을 고려하면 두산에너빌리티의 북미향 원전 비즈니스 등에 방지턱이 생길 가능성이 충분히 존재한다고 보고 있음. ​​​​글 줄입니다.